베드락에 디퍼드 렌더링이 막 도입되었을 때 많은 사람들이 이를 셰이더팩이라고 불렀습니다.
실제로 디퍼드 파이프라인의 동적 그림자와 PBR지원,
다양한 색의 빛등이 우리가 아는 마인크래프트의 셰이더팩과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는 셰이더와는 엄밀히 따져 다른 개념입니다.
아래는 마인래프트 셰이더 대표 커뮤니티인 ShaderLabs 디스코드에서
베드락 셰이더 개발자 Veka가 쓴 글입니다.
Deferred Rendering Pipeline과 셰이더
- 셰이더(Shader)는 주로 G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물체를 렌더링(화소의 색상 계산)하거나 기타 계산에 GPU를 활용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Bedrock의 맥락에서 셰이더는 기존의 바닐라 셰이더 코드를 수정하거나 완전히 대체하는 변경 사항으로, 게임에서 물체가 렌더링 되는 방식을 크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Bedrock 셰이더는 지형, 엔터티, 구름이 렌더링되는 방식을 수정하여 게임의 외관을 향상시킵니다.
- Deferred Rendering Pipeline(디퍼드 렌더링 파이프라인)은 프리뷰(베타) 1.20.30.20에서 Bedrock에 도입된 그래픽 모드입니다. 그것은 그래픽 사용자 정의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 주도 옵션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하나 빼고는 셰이더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디퍼드 파이프라인 또는 해당 사용자 정의 팩을 셰이더라고 부르는 것은 흔한 오해입니다. 그러나 어느 쪽도 정확하게 셰이더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지연 파이프라인은 그래픽 모드이며, 해당 팩은 최상의 경우 그래픽 사용자 정의 또는 확장 팩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그래픽 팩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두 용어를 구분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요?
디퍼드 파이프라인과 셰이더는 모두 Bedrock의 그래픽을 사용자 정의하는 방법이지만, 중요한 차이점은 셰이더가 공식적으로 지원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래픽 팩을 셰이더로 부르면 커뮤니티 및 애드온 및 셰이더 개발자들 사이에서 많은 당혹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부가 설명
위에서 설명한 " 디퍼드 파이프라인 또는 해당 사용자 정의 팩을 셰이더라고 부르는 것"에서 말한 팩은
디퍼드 렌더링을 리소스팩에서 json 등으로 커스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기본 텍스쳐의 재질이나 시간의 따른 하늘의 색등등을 바꿀 수 있으나
이는 셰이더팩이 아닌 커스텀 세팅팩이 맞습니다.
커뮤니티에서는 이를 디퍼드 팩이라고 부릅니다.
'마인크래프트 - 셰이더 > 베드락 렌더드래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윈도우 베드락 렌더드래곤 셰이더 설치법 ] 영상 설명글 (0) | 2025.01.26 |
---|---|
렌더드래곤 셰이더 리스트 사용 가이드 (0) | 2024.05.09 |
마인크래프트 Patched APP은 저작권으로부터 안전할까? (1) | 2023.12.29 |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모바일) 셰이더는 왜 막혔을까? (0) | 2023.12.07 |
렌더드래곤 셰이더 리스트 (0) | 20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