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기에 앞서
렌더드래곤
렌더드래곤 셰이더는 1.16.100 모바일(PE)에서 렌더드래곤이 처음 도입되며 시작되었다.
렌더드래곤은 마인크래프트 베드락의 새로운 렌더엔진으로
원래 자바에 도입될 목적으로 개발되어 개발되었으나
이후 엔비디아와의 협업으로 레이트레이싱 기능과 함께 베드락에 도입되었다.
처음에는 플레이스테이션, 윈도우10 에디션과 같이 고사양에서만 도입이 되었다가
1.18.31 버전에서 마지막으로 교육 에디션에도 도입이 되며
모든 베드락 에디션에 도입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더 나은 모서리 강조기능( 아마도 앰비언트 오클루전을 의미하는 듯)이
추가되었다고 설명되어 있으나 딱히 달라진 건 없고 오히려
렌더드래곤이 도입되며 일부 모바일기기에서 렉을 유발하며
기존에 버티고 있던 저사양 기기들은 아예 플레이가 불가능할 정도로 렉이 걸리는 등
렌더드래곤 업데이트는 여러모로 욕을 먹었다.
셰이더팩 지금도 쓸 수 있지 않음?
현제 작동되는 셰이더는 전부 게임 파일을 수정하는 모딩을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셰이더는 여전히 공식지원을 하지 않는 것이 맞다.
만약 디퍼드 렌더링을 말하는 것이라면
디퍼드 렌더링은 선택가능한 그래픽 모드지 세이더팩과 다르다.
자세한 건 이 글 참조
왜 막혔을까?
마인크래프트는 유저들의 제작 참여가 메인이 되고
이것이 매우 중요한 게임이다.
따라서 기존에 가능했던 기능을 막는 일은 거의 없으며
특히나 많은 유저들이 애용하고 있던 창작기능을
그것도 예전부터 존재해 왔던걸 막는 일은 매우 드문 일이다.
1.17에서 자바에디션에서는 오히려 리소스팩에서
OpenGL GLSL 코어세이더를 공식적으로 도입하며
개발진들이 이쪽에 관심이 없는 것이 아님도 확인되었다.
( 사실 이미 기존에도 마인크래프트 공식 사이트에서 커뮤니티 탭에 배너에
항상 셰이더와 함께 찍힌 스샷이 있다던가 레이트레이싱을 소개하는 글에서
왜 레이트레이싱 옵션이 셰이더가 아닌지에 대해 설명하는 파트에서 BSL셰이더를 예시로 드는 등
관심은 전부터 있어왔다. )
먼저 왜 막았는지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은 없다.
다만 셰이더 개발자들 사이에서 왜 막았는지에 대한 정론이 있는데
바로 커스텀 셰이더 기능이 불안정하고 유지하기 어려운 데다가 플랫폼 통합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간단한 코드만 이용하는 것은 어떨지는 몰라도
각 OS에서 사용 가능한 그래픽 요소(그래픽 라이브러리, 베드락 버전별 최적화 작동방식 등등)가
다 다르기 때문에 사실상 모든 플랫폼에서 동일하게 돌아가는 셰이더팩을 만드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
때문에 개발진들이 이러한 요소 때문에 셰이더를 막았다는 것이다.
셰이더가 막힌 그 이후의 일들
2023년 8월 1일 베드락 프리뷰버전에 렌더드래곤을 사용한
디퍼드 테크니컬 프리뷰가 공개됨과 동시에
해당기능의 공식 담당 개발자가
모딩으로 셰이더를 개발하고 있던 셰이더 커뮤니티에 찾아와 이를 알렸다.
사실상 반공식적으로 모드를 인정받게 된 셈
실제로 마인크래프트 렌더 파일을 정리해 놓은 RenderDragonSourceCodeInv 라든가
마인크래프트 애플리케이션 파일을 그대로 내장하고 있는 Patched APP이
저작권 문제로 내려가지 않고 있다는 점을 통해
기존과는 다르게 어느 정도 모딩을 허용해주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유저와 개발진들이 현제 상태에 만족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픽 분야에서는 베드락의 모딩이라는 개념이
거의 처음이다시피 하기 때문에 자료도 없을뿐더러
여전히 개발이 비교적 복잡하고 어렵다는 건 동일하다.
현제 마인크래프트 피드백 디스코드에 가보면
Graphics포럼에 Veka개발자가 관련 포럼을 올려준 걸 확인해 볼 수 있다.
https://discord.com/channels...
과연 나중에 셰이더가 다시 가능해질까?
위에서 말했다시피 모장은 현제 셰이더업계의 분위기와 상황을 알고 있고
관련 쪽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셰이더가 다시 추가될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다만 그것이 얼마나 걸릴지는 미지수이다.
디퍼드 테크니컬이 공식으로 추가된 이후에 개발을 시작할 수도 있고
어쩌면 이미 비밀리에서 진행 중일 수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관련된 것에 대해서 레이트레이싱 관련 FAQ 문서 이후로
공식적인 입장이 없다는 것
그리고 마인크래프트 데이터 마이너들이 아직 관련 소스를 찾지 못했다는 점을
미루어 보았을 때 계획에 있다고 해도 상당히 오래 걸릴 것으로 추측된다.
'마인크래프트 - 셰이더 > 베드락 렌더드래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윈도우 베드락 렌더드래곤 셰이더 설치법 ] 영상 설명글 (0) | 2025.01.26 |
---|---|
렌더드래곤 셰이더 리스트 사용 가이드 (0) | 2024.05.09 |
마인크래프트 Patched APP은 저작권으로부터 안전할까? (1) | 2023.12.29 |
렌더드래곤 셰이더 리스트 (0) | 2023.12.04 |
디퍼드 렌더링이 셰이더와 다른 이유 [마인크래프트] (1) | 2023.11.13 |